본문 바로가기

Daily Life

How to Read Analyst Report - 기업분석보고서 효율적 읽기 노하우

728x90

  증권사는 아니지만 기업분석보고서를 내는 곳이 있습니다.

  특히 중소형주 위주로 분석을 하는, 한국거래소가 설립한 비영리사단업인인 '한국IR협의회'입니다.

  

  한국IR협의회에서 최근 'How to Read Analyst Report'라는 제목으로 유튜브에 영상 4개를 올렸습니다.

  기업분석보고서를 자주 보면서도 제대로 보고 있는 건지 스스로 의구심이 들었는데, 때마침 한국IR협의회 텔레그램을 통해 공지가 떠서 바로 시청했습니다.

 

  영상이 총 4편인데, 2편까지도 서론에 가까운 내용이었습니다. 기본 지식이 있다면 패스하셔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3, 4편도 난이도가 높은 편은 아니었습니다. 1.5배속 이상으로 봐도 어렵지 않은 내용이었습니다. 

 

  아래에 주요 내용을 간단히 요약했습니다. 

  애널리스트 의견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게 아니라, 스스로 목표주가를 설정할 필요성을 다시 한 번 느꼈습니다.

 

= 목표주가 산정 방법
- Peer 그룹 PER 평균

- 역사적 밸류에이션 활용(밴드 차트)
 * 여러 밸류에이션 평균을 목표주가로 제시하기도

- 예상SPS * 목표 PSR(Peer 그룹 평균치에서 할증or할인)
 *  할증 이유 : 선도적 수주 레퍼런스. 고성장 사업 본사에서 직접 영위

= 보고서 읽기 노하우

- 같은 종목에 대해 여러 리포트를 찾아 읽자 : 여러 애널리스트의 뷰를 비교

- 경쟁사 및 고객사 관련 리포트를 읽자
 ex) 삼성전기 : 경쟁사 LG이노텍. 고객사 삼성전자

- In-Depth 리포트 읽기를 습관화 하자

- 증권사 리포트, 애널리스트의 낙관주의 편향을 고려하라
 *  "애널리스트도 좋은 걸 좋다고 하는 게, 마음이 편하다". "초대형 기업은 눈치를 볼 수 밖에 없다"

- 리포트 다독을 통해 애널리스트의 뉘앙스를 파악하자
 ex) '제품 경쟁력 개선 VS 단기적 실적 부진' 
  -> 'VS' 형태로 제목 뽑으면 매력도 낮다는 표현
 ex) 'BUY' 의견을 유지하나 OOO등 이유로 목표가는 하향
  "반대로 '사자성어' 제목, 군계일학 등.. 애널리스트가 자신감 있다는 것"

- 기업분석 보고서는 정량적, 정성적 팩트와 의견이 함께 담긴다
  ex) ~으로 파악된다 : 팩트 / ~일 전망이다, 예상된다, 판단된다 : 의견 

728x90